오늘은 인터넷지로 어플로
해외 직구 물건의 관세 납부를 해볼겁니다.
그러고보니 오랜만의 티스토리네요.
정보를 하나씩 올려야지 해서
무슨일 있을 때마다 캡쳐하고 있는데
캡쳐본을 글로 옮기는게 참 쉽지 않아요 ㅎㅎ
-세금 납부할 일이 생겨버렸다!!
직구를 하다보면
알든 모르든 세금 범위 내의 물건을
구매하게 되기 마련입니다.
보통 해외 배송 업체를 이용하면
통관 업무 중 관세가 부가되곤 하므로
이렇게 FEDEX에서 문자를 한통 받았습니다.
아마존 직배송 같은 경우에는
처음부터 tax and import fee를 부과하는 경우도 있고
(개인적으로 더 많이 부과되는 경우도 있고
환급도 어려워 좋아하지는 않는 시스템입니다.
제품가에 포함하지 않는 이베이나 다른 쇼핑몰을 통해
직배 혹은 배대지 배송을 하게 되면, 관세 납부는
사전/ 사후 처리를 통해 진행하게 됩니다.
개인통관부호, 반입사유 등 정보 전달
기재된 정보를 전달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자가사용 용도입니다.
(판매를 위한 통관은 별도의 절차가 필요합니다)
지금 해외 직구로 오고 있는게 몇개 있는데
100달러 짜리 물건인줄 알고
100달런데 왜 세금이 붙나요? 라는 질문을 함께 넣어
문자로 받은 양식을 메일로 보냈는데
쿨하게 PDF파일이 하나 왔습니다.
인터넷지로 어플을 설치합니다.
제 경우에는 세금 영수증이 PDF로 왔고
납세번호가 기재되어 있었습니다.
어떻게 낼 것인지 고민(기재)해봅니다
1)은행에 간다
2)PC로 납부한다
3)어플로 납부한다
PC처럼 여러 보안 툴을 설치할 필요 없고,
<-이거 하면 한 30분 걸림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간편하게 낼 수 있어서
공과금 납부는 어플 납부가 무조건 최고입니다.
PC는 https://www.giro.or.kr/
구글 플레이스토어(안드로이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or.giro.android
해외 구매니까 세외수입인가...하고 한참 눌러봐도
세금 납부가 안되서
옆 탭으로 넘어가 '국고금' 메뉴를 선택하니
관세라는 항목이 보입니다.
개인정보로 부과되기 때문에
사실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면
이미 제 항목에 납세 항목이 기재가 되어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fedex배송은
배송일이 빠른게 생명이라 그런지
선배송 후납부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요.
먼저 배송을 해주고, 정해진 날짜 (약 2주) 내에
기관납부, 직접 납부 형태를 통해
세금을 납부하면 됩니다.
기간을 초과하면 가산세가 붙습니다.
내역을 클릭해보면, 내가 해외 직구한 물건의
관세 납부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에 100달러 미만인줄 알았다고 했는데
생판 다른 물건이었고,
구매가인 280달러 (쿠폰 적용 후)가 아닌
정가 322달러가 송장에 기재되어 있었기에
부가세가 약 3.7~3.8만원 정도 나왔습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관세 없이 부가세만 10%)-국가별 상이
보통, 직배송이 아닌 배송품의 경우는
배대지 신고시 할인가를 입력하여
그 금액으로 신고가 되기 때문에
엄밀히 따지자면 몇천원 차액이 발생한 겁니다.
조정이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몇천원 차이라면 시간이 더 소중하기 때문에
바로바로 다음단계로 넘어갑니다.
가능하면 계좌이체 납부 할 것
유감스럽게도 , 물건 판매가 아니기 때문에
카드 결제시 카드 수수료는 납세자의 몫이 됩니다.
(3.7% 부과)
본인명의의 계좌번호를 입력하면
확인 후 냅다 빼가기 때문에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계좌번호 넣고 빼가도록 하는게
손해가 적습니다.
100만원 이하의 관세만 본인확인 없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사실 살면서 관세로 100만원씩 낼 일이
없다고는 보장할 수 없지만
쉽지 않은일이므로 웬만해서는 간편결제 가능하다는 거지요
본인확인은 없지만
최종 확인은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결제하기를 눌러
관세를 납부하고 빨리 꺼버립시다.
세금 납부는 당연한 행위이지만
어쩐지 쌩돈이 나가는 느낌은 지울 수 없기 때문이지요
납부가 끝났습니다.
탈세도, 연체도 없이 국고로 요긴하기 쓰일 것입니다.
납부 확인증이 필요한 경우
인터넷지로 어플 좌측 상단 메뉴에서
납부확인증 조회를 선택합니다.
오늘의 납부 내역 1건
금액은 **원입니다.
상세 내역도 확인 가능합니다.
제출을 요하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을겁니다.
가끔 이베이 항공이나 선편으로 받다보면
배송업체가 아닌 관세사에서
다이렉트로 연락이 오는 경우도 있는데
수수료를 지불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직접 납부 하는것이 가장 깔끔합니다.
(관세사에서 통보가 온 시점에는
인터넷지로에서 본인인증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불가한 경우는 납부번호로!)
또, 직접 해외 직구 관세 납부를 할 때는
인터넷지로 어플이 가장 간편하다는 것
알아두시면 요긴할~~ 거에요!
*그나저나 선배송 후납부라니
페덱스, 비싼 이유가 있네요
'흥청망청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계정 정지 해결 방법 – 광고 게재 중단 시 대처법 (0) | 2025.02.22 |
---|---|
구글 애드센스 가입 에러, '애드센스 계정이 없습니다'라고 나온다면? (0) | 2017.09.15 |